대중소기업상생협력 기금사업
농어촌상생기금 운영사업
기술보호 여건이 취약한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역량을 지원함으로써 공정한 기술거래문화 정착
구분 | 사업유형 | 지원내용 |
---|---|---|
기술보호 사전예방 | 기술보호 선도기업 육성사업 | 중소기업기술보호 수준에 따라 개별기업맞춤형 연계지원을 통한 기술보호 역량 우수기업 육성 |
기술보호 온라인 교육 | 기술보호역량강화를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주제별 형태별 맞춤 온라인 교육 실시 | |
기술자료임치 | 영업비밀 등 핵심 기술자료 및 경영정보를 임치설비에 안전하게 보관하여 기술탈취·유용 방지 | |
전문가 현장자문 | 기술보호 전문가(법률, 보안 등 200여명 구성)가 기업현장을 방문하여 보안수준 진단 및 맞춤형 자문 지원(1∼10일) | |
기술지킴서비스 |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예방을 위한 24시간 보안 모니터링 서비스 무상지원 | |
기술유출방지 시스템구축 | 기술·물리적 보안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 대상으로 기술유출방지 시스템(DLP, DRM 등) 구축 지원 (사업비의 50%, 최대 4천만원 지원) | |
기술탈취·유출 피해구제 | 기술보호 상담·신고 | 보안, 법률, 정책 등 무료상담 및 기술유출피해 신고 사건 경찰청 연계 지원 (유선) 02)368-8787 / (방문) 서울 중구 소재 신고센터(09:00~18:00) / (온라인) 기술보호울타리 |
기술분쟁 조정·중재 | 당사자간 신속 원만한 기술분쟁 해결을 위해 ‘중소기업기술분쟁 조정·중재위원회’를 운영, 조정회의 개최 및 조정에 소요되는 대리인비용 및 불성립 등 종료시 연계된 소송비용 지원 | |
기술보호지원반 | 중소기업 기술 분쟁·유출 피해 발생 시 지방중기청, 재단, 전문가가 방문하여 해결방안 모색 | |
기술보호 법무지원단 | 기술유출·탈취 등의 피해·분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 변호사, 변리사가 전담하여 심층적인 법률자문 제공(6개월내, 최대 30시간, 무료) | |
디지털 포렌식 | 기술유출이 의심되는 피해중소기업 소유의 업무용 디지털기기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지원 | |
중소기업 기술보호 정책보험 | 중소기업이 기술분쟁을 사전에 대비하고 분쟁 발생 시 대응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'중소기업 기술보호 정책보험' 가입 지원 |
기술보호울타리(www.ultari.go.kr)
사업소개
대중소기업상생협력 기금사업
농어촌상생기금 운영사업